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apache spark
- TIP
- max중첩
- programmingTip
- mysql
- Shell
- share
- minitest
- uploader
- fixture
- programming
- 삽질기
- rubyonrails
- Linux
- fileUploader
- Scala
- java
- Ruby on Rails
- Hadoop
- activerecord
- 전화영어
- RoR
- Migration
- transaction
- test
- form
- Rails
- Ruby
- carrierwave
- 점심영어스터디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37)
아침바라기의 이야기
근자에 겪었던 삽질 내용 공유다. 라이브러리의 현재 설치한 JVM 버전을 지원하는지 확인해보자. 지원이 안된다면? 상황에 맞게 적절히 JVM버전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하자. 근데 이상이 없다고? 그럼 JDK를 몇 개나 설치했는지 확인해보자.그리고 Path의 java와 JAVA_HOME의 java 버전이 동일한지 확인해보자.이 두개의 버전이 다르다면 Unsupported major.minor version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 실행하는 JRE(Path에 설정)와 JAVA_HOME이 달라, 스칼라의 Config 라이브러리가 오류를 뱉어내는 것이다. 오류 메시지가 딱히 친절하진 않다. 헌데 그냥 혼자 뻗어버리는거 보다는 뭐라뭐라 잔소리하는게 백번 낫긴하다.--;
모델에 관계 설정은 없고, id 값을 가져다 써야할 땐 어떻게 할까? 이럴땐 ActiveRecord::FixtureSet.identify() 를 사용할 수 있다. Fixture의 label로 레일즈가 어떤 id를 넣었는지 알수 있다. 아래 처럼 사용하면 된다. # users.yml daniel: name: Daniel job_id:
요즈음에는 개인이나 회사나 서버를 이용할때 IDC에 직접 넣기 보단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로 이용한다 그런데, AWS나 해외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하면, 시스템 로컬 시간이 그 지역 서버시간에 맞춰져 있다. (AWS로 서버를 발급받으면 PST(미국 태평양 시간)인 경우가 많다. 아마도 미국쪽 서버를 받아서 그렇겠지-_-;)프로그램에서 시스템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서비스 운영시간의 차이가 있으면 당연히 문제가 발생한다.그래서 프로그램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간대로 맞춰 주는 것이 여러모로 용이하다.운영팀과의 커뮤니케이션과 개발 모니터링을 위해서도 그게 훨 유용하다.한 서버에 여러시간대 서비스를 만들지 않는 한은 말이다.그래서, 현재 사용하고 있는 localtime 을 구하려면 * date 를 사용한다. 맨 뒤에..